맨위로가기

이효재 (192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효재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마산에서 태어나, 사회학자이자 여성운동가로 활동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수료하고, 미국 앨라배마 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UC 버클리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8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설립을 도왔으며, 한국 최초의 여성학 대학원 과정을 개설했다. 한국의 가부장적 관습 재검토, 여성 고용 할당제, 남녀 임금 평등을 옹호했으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도 기여했다. 1990년 한국여성단체연합회 회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2020년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여성주의자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여성주의자 - 노회찬
    노회찬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정의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동운동과 사회 개혁에 헌신했으나, 드루킹 사건 연루 의혹으로 특검 수사 중 투신 사망했다.
  • 이화여자대학교 동문 - 안귀령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인 안귀령은 한국낚시채널, 광주방송, YTN 앵커를 거쳐, 제20대 대통령 선거 이재명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을 시작으로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서울특별시당 도봉구 갑 지역위원장, 당 대변인 등을 역임하고 있다.
  • 이화여자대학교 동문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 1924년 출생 - 윌리엄 렌퀴스트
    윌리엄 렌퀴스트는 미국 대법원장으로 재직하며, 보수주의 성향으로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에 대한 좁은 해석, 연방 정부 권한 축소 및 주 정부 권한 확대를 주장했으며, `부시 대 고어` 사건과 빌 클린턴 탄핵 재판에 관여했다.
  • 1924년 출생 - 조반니 사르토리
    조반니 사르토리는 이탈리아의 정치학자이며, 특히 의미있는 정당 개념을 통해 정치학계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저서를 통해 민주주의 이론, 정치 제도 디자인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효재 (192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7년 청와대를 방문한 이효재 (가운데)
로마자 표기Lee Hyojae
한글이효재
인물 정보
출생일1924년 11월 4일
출생지경상남도 마산시
사망일2020년 10월 4일
사망지경상남도 창원시
직업사회 운동가, 여성 권리 옹호가
알려진 이유사회 운동, 여성 권리 옹호
경력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

2. 생애 및 학력

이효재는 일제강점기 당시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독립 대한민국의 일부가 되었다. 그녀의 아버지 이약신은 목사였고, 어머니 이옥경은 고아원을 운영하는 등 사회복지사로 활동했다.[1]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수료하였다. 이후 앨라배마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학위를,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2] UC 버클리 대학원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8] 유학 후 한국으로 돌아와 1958년 이화여자대학교에 사회학과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 또한 1977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에 여성학 강좌를 개설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여성학 대학원 과정으로 발전했다.[1] 이효재가 주창한 운동에는 한국의 가부장적 관습 재검토, 특히 호주(戶主)의 남성 단독 지명, 재산 상속에서의 여성 차별 등이 포함되었다. 그녀는 또한 여성 고용 할당제와 남녀 임금 평등을 위한 조치를 옹호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2] 그녀의 활동으로 한국의 가부장적 성씨 제도가 폐지되어, 부모의 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 또한 한국 국회 후보자의 절반을 여성으로 할당하는 규칙을 제정하는 데 기여했다.[1] 그녀의 운동은 또한 일본의 한국 강점 기간 동안 일본군 위안부였던 여성들에게 일본이 금전적 보상을 할 것을 요구하는 데 기여했다.[3] 이효재는 2020년 10월 4일 패혈증으로 창원시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이효재는 일제강점기 당시 경상남도 마산시에서 태어났으며, 이후 독립 대한민국의 일부가 되었다. 그녀의 아버지 이약신은 목사였고, 어머니 이옥경은 고아원을 운영하는 등 사회복지사로 활동했다.[1]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수료하였다. 이후 앨라배마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학위를,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2] UC 버클리 대학원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8]

3. 경력 및 주요 활동

이효재는 앨라배마에서 학사 학위를,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2] 유학 후 한국으로 돌아와 1958년 이화여자대학교에 사회학과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1]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1968년에는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1986년부터 1990년까지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9]

또한 1977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에 여성학 강좌를 개설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여성학 대학원 과정으로 발전했다.[1]

이효재는 한국의 가부장적 관습, 특히 호주(戶主)의 남성 단독 지명, 재산 상속에서의 여성 차별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 여성 고용 할당제와 남녀 임금 평등을 위한 조치를 옹호했으며,[2] 그 결과 한국의 가부장적 성씨 제도가 폐지되어 부모의 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 또한 한국 국회 후보자의 절반을 여성으로 할당하는 규칙을 제정하는 데 기여했다.[1] 일본의 한국 강점 기간 동안 일본군 위안부였던 여성들에게 일본이 금전적 보상을 할 것을 요구하는 데 기여했다.[3]

1987년 한겨레신문 이사[9]한국여성민우회 창립[10]에 참여했고, 1990년부터 1991년까지 한국여성단체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1년에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를 맡았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여성사회교육원 이사장을, 1997년부터 2020년까지 경신사회복지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99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여성기금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200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여성단체연합후원회 공동회장을 맡았다.

3. 1. 학문 경력

이효재는 앨라배마에서 학사 학위를,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2] 유학 후 한국으로 돌아와 1958년 이화여자대학교에 사회학과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1] 1958년부터 1962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조교수를 역임하였고, 1968년에는 서울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1986년부터 1990년까지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9]

또한 1977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에 여성학 강좌를 개설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여성학 대학원 과정으로 발전했다.[1]

3. 2. 여성운동 및 사회운동

이효재는 한국의 가부장적 관습, 특히 호주(戶主)의 남성 단독 지명, 재산 상속에서의 여성 차별 등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 여성 고용 할당제와 남녀 임금 평등을 위한 조치를 옹호했으며,[2] 그 결과 한국의 가부장적 성씨 제도가 폐지되어 부모의 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 또한 한국 국회 후보자의 절반을 여성으로 할당하는 규칙을 제정하는 데 기여했다.[1] 일본의 한국 강점 기간 동안 일본군 위안부였던 여성들에게 일본이 금전적 보상을 할 것을 요구하는 데 기여했다.[3]

1987년 한겨레신문 이사[9]한국여성민우회 창립[10]에 참여했고, 1990년부터 1991년까지 한국여성단체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1년에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를 맡았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여성사회교육원 이사장을, 1997년부터 2020년까지 경신사회복지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99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여성기금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2001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여성단체연합후원회 공동회장을 맡았다.

3. 3. 주요 운동 및 업적

이효재는 한국 사회의 가부장적 관습을 재검토하고 성 평등한 가족 제도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호주(戶主)의 남성 단독 지명과 재산 상속에서의 여성 차별 문제를 제기하며, 호주제 폐지 운동을 이끌었다.[2] 그 결과, 한국의 가부장적 성씨 제도가 폐지되어 부모의 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1]

또한 여성의 경제적 지위 향상과 차별 철폐를 위해 여성 고용 할당제와 남녀 임금 평등을 위한 조치를 옹호했다.[2] 일본의 한국 강점 기간 동안 일본군 위안부였던 여성들에게 일본 정부가 사과하고 배상할 것을 요구하며 피해자 지원 활동을 펼쳤다.[3] 더불어민주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노력하며, 이효재 선생의 헌신을 기억한다.

이와 더불어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 및 대표성 강화를 위해 국회 여성 후보자 할당 규칙 제정에 기여했다.[1] 1987년 한국여성민우회를 창립하고,[10] 1990년부터 1991년까지 한국여성단체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9] 1991년에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를 맡았다.[9]

4. 사상 및 영향

4. 1. 사회학적 관점

4. 2. 여성주의적 관점

5. 저서

;단독 저서

1976년 2월, 경문사에서 《가족과 사회》를 출간하였다. 1983년 4월에는 종로서적에서 《영국 여성 운동사》를 출간하였다. 1985년 10월, 한길사에서 《분단시대의 사회학》을 출간하였고, 같은 해 11월 평민사에서 《여성의 사회의식》을 출간하였다. 1988년 8월에는 까치에서 《가족연구의 관점과 쟁점》을 출간하였다.

1989년 12월, 정우사에서 《한국의 여성운동》을, 창작과비평사에서 《여성해방의 이론과 현실》을 출간하였다. 1990년 1월 경문사에서 《사회학》을 출간하였고, 3월에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에서 《여성노동시장이론》을 출간하였다. 같은 해 7월 정우사에서 《여성과 사회》를, 9월 한길사에서 《제3세계의 도시화와 빈곤》을 출간하였다. 2006년 3월에는 정우사에서 《아버지 이약신 목사》를 출간하였다.

;공저

1993년 3월, 또하나의문화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을 출간하였다.

5. 1. 단독 저서

1976년 2월, 경문사에서 《가족과 사회》를 출간하였다. 1983년 4월에는 종로서적에서 《영국 여성 운동사》를 출간하였다. 1985년 10월, 한길사에서 《분단시대의 사회학》을 출간하였고, 같은 해 11월 평민사에서 《여성의 사회의식》을 출간하였다. 1988년 8월에는 까치에서 《가족연구의 관점과 쟁점》을 출간하였다.

1989년 12월, 정우사에서 《한국의 여성운동》을, 창작과비평사에서 《여성해방의 이론과 현실》을 출간하였다. 1990년 1월 경문사에서 《사회학》을 출간하였고, 3월에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에서 《여성노동시장이론》을 출간하였다. 같은 해 7월 정우사에서 《여성과 사회》를, 9월 한길사에서 《제3세계의 도시화와 빈곤》을 출간하였다. 2006년 3월에는 정우사에서 《아버지 이약신 목사》를 출간하였다.

5. 2. 공저


  • 또하나의문화에서 출판한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이 1993년 3월에 출간되었다.

6. 수상 경력


  • 1990년: 제5회 심산상을 수상하였다.
  • 2001년: 제1회 허황옥 평등상을 수상하였다.
  • 2005년: 제4회 유관순상을 수상하였다.
  • 2012년: 제10회 한국여성지도자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7. 사망

이효재는 2020년 10월 4일 패혈증으로 창원시에서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참조

[1] 뉴스 Lee Hyo-jae, Champion of Women's Rights in South Korea, Dies at 95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11-14
[2] 웹사이트 The Korea Herald http://www.koreahera[...] 2020-10-14
[3] 웹사이트 Feminist Lee wins YWCA award https://www.koreatim[...] 2012-04-17
[4] 뉴스 한국 여성 운동 외길 이이효재 선생 지다 https://news.kbs.co.[...] KBS 뉴스 2020-10-05
[5] 뉴스 "[신연숙 대기자의 금요 초대석] 여성운동 대모 이효재 이화여대 명예교수"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7-03-09
[6] 뉴스 이효재씨 국민훈장 사양 2일 공식발표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96-07-03
[7] 뉴스 한국여성지도자상 대상에 이효재 소장 https://news.v.daum.[...] 서울신문 2012-04-18
[8] 뉴스 “식민ㆍ분단 넘어 여성해방” 한국 페미니즘 길을 열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2018-08-27
[9] 뉴스 “민주주의 실현 무기 ‘한겨레’를 지켜야 한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02-24
[10] 뉴스 여성운동 20년 빛낸 이우정 이이효재 조화순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